 
    
    CSS는 Cascading Style Sheets의 약자로 html문서의 내용에 서식을 적용하기 위한 언어로 미국의 '에릭메이어'라는 개발자에 의해서 개발된 언어이다.
현재까지 css level3까지 나온 상태로서 웹문서의 레이아웃, 그림자효과, 애니메이션 등의 동적인 콘텐츠도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css의 특징은 웹문서 제작 시 다양한 사용자 환경(pc, tablet, mobile, 크롬, 엣지, 사파리 등)에서 동일한 내용을 볼 수 있게 표현해주는 언어로서 웹표준 제작시 필수 언어이다.
작성법 : 선택자{속성:값;}
선택자(selector) : 서식을 적용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target)을 말하며 대략50가지가 있음
속성(property) : 속성은 서식의 종류로 500개 정도의 서식이 존재한다. CSS속성의 종류
값(value) : 속성을 선택하면 반드시 설정하는 내용을 말한다.
CSS언어는 
      1) 모든 문서에 동일한 서식을 만들 수 있으며,
      2) 어느 환경에서나 사용자가 의도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음
      3) 또한 편리한 유지/보수의 장점이 있음
      
CSS 주석작성 /*주석내용*/
내부스타일 : 현재 삭성하고 있는 html 문서에서만 적용이 가능한 스타일로서 head영역안에 style을 선언하여 작성
외부스타일 : 별도의 CSS문서를 작성하고, html문서의 head영역 안에 link href='css문서경로'로 연결하여 서식을 적용
인라인스타일 : html문서 안에 있는 태그에 직접적으로 스타일 서식을 작성하여 적용하는 방법으로서 주로 테스트용으로 많이 활용함
cascading은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상속 또는 종속하는'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cascading은 선택자에 적용된 많은 스타일 중 어떤 스타일로 브라우저에 표현할지 결정해주는 원리를 의미한다.
우선순위란 어떤 스타일을 먼저 적용할지 결정하는 규칙
1) 중요도 2) 적용범위 3)소스 순서
중요도의 우선순위
      1. 사용자 스타일 시트 > 2. 제작자가 만든 !important스타일 > 3.제작자가 만든 일단 스타일 > 4. 기본적인 브라우저 스타일
사용자 스타일 시트란 특별한 조건이 필요한 사용자가 본인의 필요에 맞게 구성해 놓은 스타일시트
사용자가 시스템에 저장한 스타일이기 때문에, 웹페이지 제작자가 스타일을 제어할 수 없음
제작자가 만든 !important스타일은 웹페이지 제작자가 스타일 시트에 스타일을 만들 때 속성값 뒤에 !important라고 써놓은 것으로 다른 일반 스타일보다 최우선으로 적용되게 함
제작자가 만든 일단 스타일은 css문서 작성을 통해 설정한 스타일
기본적인 브라우저 스타일은 브라우저들마다 기본적으로 지정하고 있는 스타일로, 크롬, 익스플로러, 파이어폭스 등 웹브라우저들이 기보적으로 지정해놓은 스타일을 말함
하나의 요소에 여러 스타일이 충돌하게되면?
      기본적으로 스타일 적용 범위가 좁을수록 즉, 정확히 필요한 요소에만 적용할 스타일일수록 우선 순위가 높아지며, 1. 인라인 스타일 > 2. id 스타일 > 3.class 스타일 > 4. 태그 스타일 순서에 따라 스타일이 적용됨
중요도와 적용범위가 같다면 나중에 나온 스타일이 먼저 나온 스타일을 덮어씀
p{color:black;}라는 속성을 지정하고, 뒤에 다시 p{color:pink;}를 지정하면 뒤에서 지정한 스타일을 적용함 즉 p태그의 color는 pink가 됨
스타일 시트(CSS)에서 별도로 스타일을 지정하지 않으면, 부모 요소에 있는 스타일 속성들이 자식 요소로 자동으로 전달됨
모든 스타일 요소가 상속되는 것은 아님 - 배경색과 이미지는 스타일이 상속되지 않음